
안녕하세요~ 여러분! 최근 네이버 블첼 덕분에 네이버 블로그 구경하러 다녔는데요! 파워블로거 말투가 너무 중독적인거 있죠~? 에러가 좀 엿같으므로 파블 말투 따라하면서 다 같이 화를 삭혀보기로 해요~!! 오늘의 에러는 바로바로 " Error running pod install " 이랍니다~! 여러분이 flutter를 run 하실때 갑자기 빌드에러가 나면서 이런 멘트가 나오는데요! 사진으로 직접 보니 더 마음이 아프고 스트레스가 쌓이죠?!! 그럼 해결방법은 무엇일까요~? !~지금부터 집중~! 우선 터미널을 켜줍니다! 터미널에서 해당 flutter폴더 > ios 로 들어가주세요~ 들어가시면 이런식으로 폴더들이 있겠죠~? 만약! Podfile.lock 파일이 안에 있다면 ' rm -rf Podfile.lock..

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flutter 을 사용하다보면 run button이 disable 되는경우가 종종 있다. 그럴 때는 상단 메뉴바를 확인해줘야한다. 디바이스 선택 옆에 어떤 파일을 run 할지 정해주는 부분이 있는데, 저 부분이 App configuration 이라고 되어있는 경우가 있다. 역삼각형 버튼을 눌러서 edit configuration을 선택해주고, run/debug configuration 창에서 run 하려는 파일을 선택해주자. + 버튼으로 flutter 파일을 선택해주고, 파일이름 ( 내 경우는 main.dart)과 경로(dart entrypoint)를 선택해주자. ok 누르고 제일 첫 이미지 처럼 maindart를 선택해주면 Run 버튼이 다시 활성화 된다!

flutter는 보통 flutter doctor 이라는 커멘드를 사용해서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합니다. 그런데 이 flutter doctor라는 커멘드를 처음에는 사용이 가능했는데 새 터미널에서 사용하면 command not found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런 경우 .bash_profile을 수정해주면 해결 할 수 있습니다. 우선 .bash_profile을 열어봅시다. vim .bash_profile .bash_profile에 넣어줘야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 [flutter 파일 경로]이 부분은 개인마다 다르겠죠? export PATH="[flutter파일 경로]/flutter/bin:$PATH" 참고) vim 에디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1. 원하는 위치 가서 [ esc + o ]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트리
- 우분투
- ubuntu
- 버추얼박스
- flutterdoctor
- Flutter
- VirtualBox
- apt-get
- VS Code
- QO
- 해마코딩
- DevExpress
- mac unity vscode autocomplete
- androidstudio
- =
- Tree
- Winform
- 컨셉때문에킹받으셨나요..죄송합니다..제가 봐도 킹받네요
- multiple Column
- Unity
- apt
- Unity vs code
- select
- gridContorl
- ()
- Query
- Mac
- GIT
- DataSource
- mac Unity vscode 자동완성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